-
오델로(Othello),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못난 놈들이 사는 법책 2022. 5. 19. 12:31반응형
못난 놈들이 사는 법 - 셰익스피어 오델로(Othello)
오델로는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중에 하나다. 대학때 강독했던 작품이었는데 지금까지 기억하는 에피소드 하나.
수업이 끝나고 교실을 나서는 미국인교수님 뒤를 쫒아가서 질문을 했었다.
"교수님, 이아고는 왜 이렇게까지 하나요? 이유가 불분명해요."
교수님은 질문을 받아 좋으셨는지 웃으며 말씀하셨다.
"이유가 없어. 이아고는 pure evil(절대악)이야"
이십대의 나는 좀 충격을 먹었다. 그런거군요. 이유도 없이 한 사람을 파멸로 몰아넣는 이아고는 몹시도 잔인했고 한톨의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 인간이라면 이럴 수 없기에 '절대악' 이라는 것이다.
-오델로 줄거리
이 극의 배경은 15세기 키프로스 섬이다. 키프로스 섬에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된 오텔로는 카시오를 부관으로 임명한다. 부관으로 임명되지 못한 이아고는 불만을 가지고 복수를 하기 위해 계략을 짠다.
오텔로의 부인 데스데모나를 연모하는 로데리고에게 카시오가 연적임을 말하고, 술에 취한 카시오와 싸움을 붙인다. 퇴임한 총독 몬타노가 싸움에 휘말려 카시오에게 상처를 받고 오텔로는 카시오를 파면시킨다. 걱정하는 카시오에게 다가간 이아고는 데스데모나에게 복직을 요청하라고 충고한다. 이아고는 오텔로에게 카시오와 데스데모나가 함께 있는 장면을 보여주어 카시오에 대한 오텔로의 신뢰를 저버리게 한다. 데스데모나는 카시오의 용서를 오텔로에게 청하지만 오텔로는 화를 내며 이를 거부한다.
오텔로의 이마를 닦아 주려다 거부당해 땅에 떨어진 데스데모나의 손수건을 에밀리아가 줍는다. 이아고는 그녀로부터 손수건을 건네받고 오텔로에게 손수건이 카시오에게 있음을 알린다. 오텔로는 데스데모나에게 손수건을 가져다 달라고 하지만, 잃어버린 그녀는 주지 못한다. 이에 그녀의 부정을 비난하지만, 데스데모나는 결백을 주장한다. 이아고는 오텔로가 보는 가운데 카시오에게 숙소에 떨어져 있는 손수건을 보이도록 유도한다. 손수건의 행방을 알게 된 오텔로는 데스데모나의 배신을 확신한다.
오텔로가 고위직책을 받아 베네치아로 가게 됨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질투에 눈 먼 오텔로는 모두가 보는 앞에서 데스데모나를 모욕한다. 이아고의 부추김에 침실에 홀로 있는 데스데모나의 목을 졸라 죽이러 오텔로가 들어온다. 동시에 이아고는 로데리고에게 카시오를 살해할 때가 되었음을 알린다. 카시오의 죽음을 알리러 침실에 들어온 에밀리아는 데스데모나의 죽음에 사람들의 도움을 청한 후 이아고의 계략을 폭로한다.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오텔로는 스스로 가슴을 찔러 자살한다.
출처/다음백과
자신을 승진시켜주지 않았다는 사소한 이유로 오델로 가정을 풍비박산 만드는 이아고 모습은 쏘시오패스 같다. 이십대에 이 작품을 읽었을 때는 오델로의 비극적 결함(tragic flaw)에 집중했었다. 그는 자신이 무어인이라는 열등감 때문에 귀가 얇아 남의 말만 듣고 쉽사리 아내의 부정을 의심했다. 그래서 이아고의 함정에 빠지게 됐다고 봤었다.
세상을 좀 살고 보니 오델로 정도의 자존감 부족, 의심과 질투는 그럴 수도 있겠다고 생각된다. 물론, 질투심이 극단으로 치달아 아내를 살해한 극악한 폭력은 절대 용납될수 없다. 다만, 그를 그지경에 이르게 만든 악은 무엇이었을까 생각해보게 된다. 그래서 그의 결함보다는 이아고의 악의가 더 관심이 간다. 교수님은 그가 절대악이라 했는데 나는 이런 류의 인간을 살면서 본 것 같다.
고귀한 자를 질투하고 그를 자기 레벨로 끌어내리고 짓밟아서 성취감과 자기만족을 일삼는 부류. 고귀한 사람이 부러우면 노력해서 그곳으로 올라가야 하는데 고귀한 사람을 끌어내려서 같아지려하는 인간들. 이렇게 마음이 못난 놈들은 혼자서는 힘이 없기 때분에 못남놈들끼리 연합해서 고귀한 자를 모함한다. 적당히가 없는 놈들. 아마도 양심이나 죄책감이라는 인간 본연의 거울이 없는 황량한 영혼을 가졌기 때문이리라.
1600년대에도 사람 마음의 모습은 지금이랑 별반 다르지 않았나 보다. 셰익스피어가 보여준 못난놈들 모습은 21세기 한국에도 있다. 그들은 떼거지로 잘도 붙어서 세상을 어지럽게 한다. 이것이 못난 놈들이 사는 방법이다.
반응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시민 유럽도시기행2 + 김영하 오래 준비해온 대답 (0) 2022.07.22 윌리엄 블레이크 타이거, William Blake Tyger - fearful symmetry (0) 2022.07.12 가불 선진국 - 조국 교수님 미안합니다 (0) 2022.04.07 [책추천] 일의 기쁨과 슬픔 - 장류진 (0) 2022.01.26 데이비드 보위의 삶을 바꾼 100권의 책 - 존 오코넬, Bowie's Books (0)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