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수능영어 문제 풀어보기 - 중2 영어 가르치는 엄마의 노력, 수능영어 21번 34번 문제(홀수형)중학교생활 2021. 11. 29. 23:02반응형
2022 수능영어 문제 풀어보기 - 수능영어 21번 34번 문제(홀수형)
딸아이의 영어를 직접 가르치다보니, 수능 영어가 어떤 식으로 출제되는지 궁금해서 문제를 풀어보았다. 내가 수능을 치른 95학년도 수능영어와 올해의 수능 문제는 정말 크게 달랐다. 그당시 수능영어는 내신 영어과목을 충실히 공부하면 무난히 풀수 있는 수준이었다. 문법이나 어휘를 묻는 간단한 문제들도 있었던것 같다. 그런데 며칠전 풀어본 2022 수능영어 문제는 너무 어려웠다. 나름대로 오랫동안 영어공부한 사람으로 부끄럽지만 80점대의 점수가 나왔다. 딸아이가 충격이라며 실망했다고 놀려댔다.
수능영어의 목표는 대학에 가서 전공과목의 영어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라했다. 그래서인지, 처음부터 끝까지 독해, 독해, 독해 였다. 수능 국어도 그렇게 어렵더니, 수능영어도 만만하지 않았다. 지문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함정에 빠질 문제들이 많았다. 우리나라 학생들 너무 불쌍하다. 이렇게까지 복잡한 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느라 그렇게 매일 힘들게 공부한 거구나. 수학은 또 얼마나 어렵게 나왔을까......
모르는 단어도 없었는데 내가 왜 이 문제들을 틀렸을까. 지문을 술술 읽어 내려갔지만 문장들을 대충 이해한게 원인이었다. 만연체의 영어문장들은 다 읽어도 도대체 무슨 말인지 금방 이해가 안되기도 한다. 틀린 문제의 지문을 구글 번역기에 돌려 보았다. 지독한 직역체의 문장들이 나왔지만 역시 구글번역기는 좋은 번역을 제공했다. 번역해서 읽고 문제를 풀어보니, 편안한 국어문제가 됐다.
2022대입 수능 영어 21번과 34번 문제
21. 밑줄 친 whether to make ready for the morning commute or not이 다음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Scientists have no special purchase on moral or ethical decisions; a climate scientist is no more qualified to comment on health care reform than a physicist is to judge the causes of bee colony collapse. The very features that create expertise in a specialized domain lead to ignorance in many others. In some cases lay people - farmers, fishermen, patients, native peoples — may have relevant experiences that scientists can learn from. Indeed, in recent years, scientists have begun to recognize this: the Arctic Climate Impact Assessment includes observations gathered from local native groups. So our trust needs to be limited, and focused. It needs to be very particular. Blind trust will get us into at least as much trouble as no trust at all. But without some degree of trust in our designated experts - the men and women who have devoted their lives to sorting out tough questions about the natural world we live in — we are paralyzed, in effect not knowing whether to make ready for the morning commute or not.
과학자들은 도덕적 또는 윤리적 결정에 대해 특별한 구매를 하지 않습니다. 물리학자가 꿀벌 군체 붕괴의 원인을 판단하는 것만큼 기후 과학자는 의료 개혁에 대해 논평할 자격이 없습니다. 전문 영역에서 전문 지식을 생성하는 바로 그 기능이 다른 많은 영역에서는 무지로 이어집니다. 어떤 경우에는 농부, 어부, 환자, 원주민과 같은 평신도가 과학자들이 배울 수 있는 관련 경험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동안 과학자들은 이를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북극 기후 영향 평가에는 지역 원주민 그룹에서 수집한 관찰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우리의 신뢰는 제한되고 집중되어야 합니다. 매우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맹목적인 신뢰는 우리를 적어도 전혀 신뢰하지 않는 것만큼의 문제에 빠뜨릴 것입니다. 그러나 지정된 전문가들,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 세계에 대한 어려운 질문을 해결하는데 일생을 바친 남녀들에 대한 어느 정도의 신뢰가 없으면 우리는 사실상 아침에 출근 준비를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모를 마비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1) questionable facts that have been popularized by non-experts
비전문가들에 의해 대중화된 의심스러운 사실들
2) readily applicable information offered by specialized experts
전문가가 제공하는 즉시 적용 가능한 정보
3) common knowledge that hardly influences crucial decisions
중요한 결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식
4) practical information produced by both specialists and lay people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가 생산하는 실용적인 정보
5) biased knowedge that is widespread in the local community
지역사회에 만연한 편향된 지식
*정답) 2번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Precision and determinacy are a necessary requirement for all meaningful scientific debate, and progress in the sciences is, to a large extent, the ongoing process of achieving ever greater precision. But historical representation puts a premium on a proliferation of representations, hence not on the refinement of one representation but on the production of an ever more varied set of representations. Historical insight is not a matter of a continuous “narrowing down” of previous options, not of an approximation of the truth, but, on the contrary, is an “explosion” of possible points of view. It therefore aims at the unmasking of previous illusions of determinacy and precision by the production of new and alternative representations, rather than at achieving truth by a careful analysis of what was right and wrong in those previous representations. And from this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insight may indeed be regarded by the outsider as a process of creating ever more confusion, a continuous questioning of , rather than, as in the sciences, an ever greater approximation to the truth. (3점)
정확성과 결정성은 모든 의미있는 과학적 토론에 필요한 요구사항이며, 과학의 진보는 대부분 더 큰 정확성을 달성하기 위한 진행 중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역사적 재현은 재현의 확산을 중시하며, 따라서 하나의 재현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훨씬 더 다양한 재현 집합의 생산에 중점을 둡니다. 역사적 통찰은 진실에 대한 근사가 아니라 이전 옵션을 지속적으로 "축소"하는 문제가 아니라 반대로 가능한 관점의 "폭발"입니다. 따라서 그것은 이전의 표현에서 옳고 그른 것에 대한 주의 깊은 분석을 통해 진실을 달성하는 것보다 새롭고 대안적인 표현의 생산에 의해 결정성과 정확성에 대한 이전의 환상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역사적 통찰의 발전은 과학에서와 같이 진실에 대한 더 큰 접근보다는 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제기, 외부인에 의해 더 많은 혼란을 야기하는 과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1) criteria for evaluating historical representations
역사적 표현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2) certainty and precision seemingly achieved already
이미 달성된 것처럼 보이는 확실성과 정확성
3)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an event
사건에 대한 대안적 해석의 가능성
4) coexistence of multiple viewpoints in historical writing
역사서의 여러 관점의 공존
5) correctness and reliability of historical evidence collected
수집된 역사적 증거의 정확성과 신뢰성
*정답) 2번
반응형'중학교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3 영어 학원 선택하기, 삼성영어 셀레나 레벨테스트 (0) 2022.03.02 고교학점제 시행 (2025) - 현재 중2가 준비해야할 것, 겨울방학 공부계획 (0) 2021.12.22 중2 국어 수행평가 - 설명하는 글쓰기, 피그말리온 효과 (0) 2021.11.14 중2 영어 수행평가 독후감 쓰기 - 구글번역, 카카오번역(kakao i번역) (0) 2021.10.21 중2 미술 수행평가 - 사회참여미술, 아이웨이웨이 구명조끼 (1) 2021.09.14